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Block Hash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블록 해시는 어떻게 얻나요?
블록 헤더(Block header)를 SHA256 해시 함수로 2번 해시하면 블록 해시를 얻을 수 있습니다.
Example
블록 번호 123,456의 블록 헤더를 예제로 살펴봅시다.
1. 직렬화한 블록 헤더 값
010000009500c43a25c624520b5100adf82cb9f9da72fd2447a496bc600b0000000000006cd862370395dedf1da2841ccda0fc489e3039de5f1ccddef0e834991a65600ea6c8cb4db3936a1ae3143991
2. SHA256 해시 함수를 2번 수행하여 값을 구하고,
= cac383cdf62f68efaa8064e35f6fc4dfc8aa74610c6580ed1729000000000000
3. 리틀 엔디안(Little endian)으로 swap 하면
= 0000000000002917ed80650c6174aac8dfc46f5fe36480aaef682ff6cd83c3ca
위와 같이 블록 헤더의 해시 값이 나오게 됩니다.
'블록체인 >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베이스 트랜잭션(Coinbase transaction) (0) | 2023.04.07 |
---|---|
TXID (트랜잭션 ID) (0) | 2023.04.07 |
넌스 (Nonce) (0) | 2023.04.07 |
비츠(Bits) (0) | 2023.04.07 |
머클 루트 (Merkle Root)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