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hTech
  • 비트코인 기술 가이드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41)
      • 블록체인 (23)
        • 비트코인 (23)
      • Android (12)
        • Compose (1)
        • DataStore (2)
        • 기타 (1)
        • DI (1)
      • Kotlin (5)
        • Coroutines (5)
      • 알고리즘 (1)
  • 홈
  • 태그
  • 방명록
블록체인/비트코인

머클 루트 (Merkle Root)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Merkle Root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머클 루트(Merkle root) 블록 내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지문입니다. 머클 루트는 TXID를 하나의 쌍으로 해시하여, 블록 내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간결하고 고유한(unique) 지문을 생성합니다. 이 머클 루트는 블록 헤더(Block Header)의 필드에 들어가므로, 모든 블록 헤더에는 블록 내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지문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머클 루트를 사용하..

2023. 4. 7. 22:09
블록체인/비트코인

블록 헤더(Block header)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Block Header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What is Block Header? 블록 헤더는 트랜잭션이 담겨있는 블록의 맨 위에 있는 메타데이터와 같습니다. 블록 헤더에 있는 필드들은 전체 블록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합니다. Example 123,456번 블록의 블록 헤더 예시 (위의 링크를 통해 들어가서 보시면 필드별로 상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010000009500c43a25c624520b5100adf82cb9f9..

2023. 4. 7. 21:58
블록체인/비트코인

블록(Blocks)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Blocks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What is a block? 블록은 블록체인에 추가된 트랜잭션의 묶음입니다. 블록은 어떻게 형성되나요? 블록은 채굴자(miner)에 의해 형성됩니다. 당신이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보내면, 트랜잭션은 블록체인에 곧바로 추가되지 않고 대신 트랜잭션 풀(메모리 풀)에 저장됩니다. 채굴자들은 트랜잭션 풀에서 트랜잭션을 후보 블록(Candidate block)으로 트랜잭션을 모으고, 이 후보 블록을 블..

2023. 4. 7. 21:36
블록체인/비트코인

후보 블록(Candidate Block)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Candidate block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후보 블록 (Candidate Block) 메모리 풀(memory pool)에서 선택된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생성한 임시 블록입니다. 노드는 메모리 풀에서 트랜잭션을 선택하여 자체 후보 블록을 형성합니다. 채굴자는 어떤 트랜잭션을 그들의 후보 블록에 포함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각 노드는 채굴을 통해 후보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려고 시도합니다. 모든 블록은 후..

2023. 4. 7. 13:55
블록체인/비트코인

메모리 풀 (Memory pool)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내에 있는 Memory pool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메모리 풀(Memory pool)이란? 노드에서 받은 트랜잭션에 대한 임시저장소를 의미합니다. 노드가 새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해당 트랜잭션은 수신한 다른 모든 최신 트랜잭션과 함께 메모리 풀에 보관됩니다. 이후 트랜잭션은 후보 블록(Candidate block)에 포함되도록 선택되기를 희망하며 대기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메모리 풀은 새로운 트랜잭션들의 대기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3. 4. 7. 13:48
블록체인/비트코인

노드 (Nodes)

본 글은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놓은 해외 사이트 Learn me a bitcoin 의 Nodes 페이지를 번역한 글입니다. 읽은 것을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작성한 글이다 보니,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읽고자 하시는 분은 위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What is a node? 비트코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들 노드란 단지 비트코인 프로그램(Bitcoin client)을 실행하는 하나의 컴퓨터를 말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비트코인 네트워크(Bitcoin network)를 만들기 위해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 중인 다른 컴퓨터들과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노드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노드는 3가지 역할이 있습니다. 1. 규칙을 지킨다. (Follow..

2023. 4. 7. 00:45
  • «
  • 1
  • 2
  • 3
  • 4
  • »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41)
    • 블록체인 (23)
      • 비트코인 (23)
    • Android (12)
      • Compose (1)
      • DataStore (2)
      • 기타 (1)
      • DI (1)
    • Kotlin (5)
      • Coroutines (5)
    • 알고리즘 (1)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Preferences Datastore
  • #kotlin coroutine
  • #블록해시
  •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스킨
  • #Android Kotlin Flow
  • #블록체인
  • #Coroutine
  • #후보블록
  • #Android Flows in practice
  • #Android
  • #Datastore
  • #트랜잭션 수수료
  • #VOUT
  • #트랜잭션데이터
  • #넌스
  • #안드로이드
  • #Proto Datastore
  • #AVD 스킨
  • #Coroutine Flow
  • #Kotlin Flow
  • #비트코인
  • #jetpack
  • #트랜잭션ID
  •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 #flow
  • #TXID
  • #Text Border
  • #코인베이스트랜잭션
  • #Android Architecture
  • #사용자 데이터 백업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HashTech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